-
예금 적금 대출이자 계산기를 활용하는 방법(기본 금융상식)생활정보 2022. 3. 24. 23:15
예금 적금 대출이자 계산기를 활용하는 방법(기본 금융상식) 대출이자 계산기나 적금 이자 계산기, 예금이자 계산기 정말 다양한 이자 계산기들이 있는데
알려지지 않아서 그런지 아는 사람만 활용하기에 한번 글을 써볼까 한다.
우리 나란 학창 시절에 학문 수업은 많이 하는데 금융 수업은 안 해주니....
적금? 예금? 대출? 대출 상환 방식? 등등 모르는 사람들이 참 많다.
(내가 제대로 몰랐기 때문에 이렇게 말함ㅋㅋㅋ)
아무튼, 기본적인 금융상식인
예금, 적금, 대출 그리고 대출 상환 방식 그리고
각각의 이자 계산기에 대해 이야기해 보자!
외면하지 말아요 최근 미국의 금리 인상이 시작됨에 따라
우리나라는 금리 인상을 선제적으로 몇 번 진행하기도 했고
거기에 토스 뱅크나 케이뱅크 등 여러 온라인 은행들이
고금리 예금, 적금 상품을 무기 삼아 공격적으로 고객을 유치함에 따라
기존 대형은행들도 너도나도 고금리 예금, 적금 상품을 홍보하며 경쟁하고 있다.
거기에 보태기로 정부에선 청년희망적금같이 시중 고금리 + 국가 보조금까지 보태주면서
적금이나 예금을 장려하고 있다.
왤까? 개인 의견이지만
2~30대가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의
코인과 주식에 올인하는 경향을 보임에 따라
나라에선 자국민 보호 + 근로 장려 차원으로 지원하는 것 같다.
현실은 월급만 받아선 집하나 장만 못하는 미쳐버린 부동산 가격 상승이 가장 큰 이유가 아닌가 싶지만...
아무튼, 시중에는 정말 수많은 예적금 상품들이 널려있다.
고등학교 수학 시간에 배웠던
복리 상품도 있고
3개월짜리, 6개월짜리, 12개월짜리 복리 등등 다양한데
하나하나 비교 분석하기 너무 복잡하다.
그냥 한 번에 계산해 주는 게
바로 이자 계산기다.
예금이자 계산기도 있고 적금 이자 계산기도 대출이자 계산기도 다양하게 있다.
모두 알아보자!
시중은행들 홈페이지에서도 확인 가능하지만
개인적으로 애용하고 추천하는 건
바로 금융감독원에서 운영하는 파인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이자 계산기다.
금융소비자정보포털 파인
금융소비자가 금융거래과정에서 필요하거나 알아두면 유익한 금융정보를 망라하여 제공, 금융감독원 파인, 금감원 파인, 휴면계좌 통합조회, 금융상품 한눈에, 연금저축 통합공시, 보험다모아,
fine.fss.or.kr
위 링크로 들어가서 제일 하단!!!!으로 내려가보면
바로 이자 계산기가 보인다.
3가지 종류의 이자 계산기를 제공하는데
예금이자 계산기와 적금 이자 계산기 겸용인 예적금 계산기
대출이자를 계산해 주는 대출이자 계산기
그리고 현재 가치를 계산해 주는 현재가치 계산기다.
우선 예금이란?
일반적으로 약속한 기간 동안 일정 금액을 은행 계좌에 넣어두는 대가로 일정 이자를 받는다고 생각하면 된다.
주로 목돈처럼 큰 액수를 넣어놓고 이자를 받는 식이다.
그래서 본인 소유의 부동산을 전세나 월세로 내어주고
받은 전세금이나 보증금같이 후에 돌려줘야 할 큰 액수를 은행에 예금시켜놓고
거기에 대한 이자를 받는 게
정석이라 할 수 있다.
(제로금리, 저금리 시대로 접어들면서 이렇게 하는 게 많이 줄어들었지만)
무한동력 KB국민은행에선 최근 1%대 예금상품을 잠깐 내놓았었는데
이것도 최근 몇 년간 최고 높은 금리라고 한다.
그만큼 예금 금리는 많이 낮다....ㅠㅠ
하지만 리스크 0%에 이자 보장이니
안전함이 1순위면 예금이 최고다.
주식 무지성 매수보단... 아무튼 예금하는 통장을 다른 이름으로는 파킹 통장이라고도 불린다.
큰 목돈을 주차시켜놓고 이자 받아챙기기!!!
예금 단점이라곤 약속한 기간이 지날 때까지 돈이 묶인다.
중도에 인출하면 약속된 이자보다 훨!!!씬 적은 이자를 받게 된다.
혹은 일부 인출 시에도 은행에 따라 약정보다 훨씬 적은 이자를 받게 된다.
이런 예금의 단점을 보완해서
일반 통장처럼 입출금이 되는데도 예금 수준의 이자를 주는 곳도 있다.
대표적으로 토스 뱅크
입출금이 자유로운데 이자는 2%로 쳐준다.
매일 받을 수 있다.
아무튼 이런 예금상품에 따라 내가 얼마를 받을지
계산해주는 예금이자 계산기를
금융소비자정보포털 파인
금융소비자가 금융거래과정에서 필요하거나 알아두면 유익한 금융정보를 망라하여 제공, 금융감독원 파인, 금감원 파인, 휴면계좌 통합조회, 금융상품 한눈에, 연금저축 통합공시, 보험다모아,
fine.fss.or.kr
여기서 이용할 수 있단 말!
적금은 뭘까
적금이란 매달 일정 금액을 넣기로 약속하고
약속한 기간이 지나면
넣은 금액들에 대해 이자를 계산해서
이자와 매달 넣은 돈을 합쳐서 마지막달에 수령하는 상품이다.
바로 주식코인말고... 요즘 참 많은 은행들이 있는데
가장 최근에 진행되었던 청년희망적금을 예로 들면
매달 최대 50만 원까지 넣을 수 있고(자유)
최대 2년 뒤에 국가 장려금을 포함해서 이자까지 받는 적금이 있었다.
장려금까지 포함하면 이자가 10%대 적금이라고 한다.
보통 사회 초년생들의 시작은 적금으로 목돈을 모아서
그 목돈을 기반으로 어떤 투자를 한다.
이게 흔히 대다수가 하는 테크트리.
그래서 파인 적금 이자 계산기에서 제공하는 게
바로 목표금액(세금 떼고 실수령하는)을 만들고 싶다면
얼마를 얼마 기간 동안 얼마의 이자율로 넣어야 하는지를 계산해 준다.
적금 상품 알아보고 적금으로 넣을 금액을 산정할 때 유용한 적금 이자 계산기
그리고 ...
대망의 대출이자 계산기다.
대출을 받았을 때 갚는 방법(상환 방식)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1. 만기 일시 상환 대출
대출받고 갚을 때까지 이자만 내다가
대출 계약 만기일에 대출받은 금액을 한 번에 갚는 방식이다.
주로 소액 신용대출의 경우 이런 만기 일시상환 대출 방식을 적용한다.
아무래도 만기일에 대출받은 금액을 한 번에 갚아줘야 하기 때문에 부담이 커서
주로 소액! 그리고 신용대출!에서 사용된다.
2. 원금 균등분할 상환 대출
대출받은 원금을 대출받은 기간으로 똑같이 나눠서 상환하는 방식이다.
대출이자는 매번 갚을 때 남은 대출 잔액에 금리를 적용 키는 방식.
시간이 흘러갈수록 대출원금도 조금씩 갚아나가고
그 덕에 대출 잔액도 줄어드니 이자도 매달 줄어드는 방식이다.
그렇다 보니 타 대출 방식들에 비해 이자가 저렴하고
매달 내야 하는 상환금액이 점점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단점은 아무래도 매달 내는 금액이 계속 달라지기 때문에
계획 세우기가 쉽지 않고
처음부터 이자+일부 원금을 갚아나가기 때문에
대출을 받은 초기에는 부담이 꽤 크다.
3. 원리금 균등분할 상환 대출
대출받아서 만기까지 대출원금에 이자까지 미리 계산 다~~해서
그걸 나눠서 매달 똑같은 금액을 내는 방식이다.
아무래도 위에 썼던 원금 균등분할 상환 대출 단점인
계획 짜기 어렵단 걸 보완해 준다.
하지만 원금 균등분할 상환 대출은 시간이 가면 갈수록
매달 내는 돈이 줄어드는 한편
이 3번 원리금 균등분할 상환 대출은 대출 만기까지 계ㅔㅔㅔㅔㅔ속
똑같은 금액을 내야하다보니
뭔가 손해 보는 기분이 계속 드는 게 단점이랄까...
4. 거치식 상환 대출
대출받을 때 거치 기간이라고 정하는 기간이 있다.
그동안은 이자만 내고
그 이후!부터
위에 2번이나 3번인
원금 균등분할 상환
OR
원리금 균등분할 상환
방식으로 대출을 갚아나가는 방식이다.
거치 기간이 있어서 돈을 활용할 수 있는 기간이 상당히 길기 때문에
주로 주택담보대출(주담대)에서 이용되는 대출 방식이다.
주담대는 보통 고정금리고 만기까지 20~30년 혹은 더 긴 경우도 많다.
정리해 보자면
- 만기 일시 상환 대출
장점 : 이자만 내는 대출 기간 동안은 편하다
단점 : 만기 때 부담이 크다
- 원금 균등분할 상환 대출
장점 : 시간이 지날수록 매달 갚는 돈이 줄어든다
단점 : 초기에 빡세고 매달 갚는 금액이 달라지니 계획 수립이 어렵다
- 원리금 균등분할 상환 대출
장점 : 매달 내는 돈이 정해져있어서 계획하기 좋다
단점 : 대출 기간 내내 동일한 돈을 내야 한다.
- 거치식 상환 대출
장점 : 이자만 내는 기간(거치 기간) 동안은 아주 활용도가 높다.
단점 : 거치 기간이 지나면 빡세다. (보통 거치식 대출은 대출금 액수가 높기 때문)
그럼 예시를 들어서 뭐가 가장 이득인지 알아보자.
가장 많이 대출받는 금액인 1억
그리고 금리는 대략 연 5%로
그리고 대출 만기까지 기간은 5년으로 잡아보자.
1. 만기 일시 상환 대출
총 이자 : 2500만 원
2. 원금 균등분할 상환 대출
총 이자 : 1270만 8330원
3. 원리금 균등분할 상환 대출
총 이자 : 1322만 7400원
4. 거치식 상환 대출
거치 기간 3년, 원금균등 상환으로 설정 시
총 이자 : 2020만 8330원
물론 총 이자만 계산하면 원금 균등분할 상환 대출이 가장 저렴하다고 할 수 있다.
다만 투자 계획이 있다거나
이자만 내는 거치기간 동안 다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비용이 있다거나 등은
포함되지 않은 오로지 숫자만 봤을 때다.
요즘 금리도 오르고 여러 가지 투자에 대한 사람들의 시야도 넓어지고 있는 상황인데
그럴 때일수록 이런
예금이자 계산기나 적금 이자 계산기 대출이자 계산기 같은
금융 이자 계산기를 적극 활용하면
아무 계획이나 분석 없이 무작정 접근하는 사람보단
더욱 효율적으로 돈을 관리하고 불려나갈 수 있지 않을까 하며
조심스레 생각해 본다.
사람들이 많이 찾아본 글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T 우주패스 핫픽(SKT신규, 기기변경 혜택)이용하기 (0) 2022.05.26 애플 키노트, WWDC22 6월6일 확정(세계 개발자 컨퍼런스) (0) 2022.05.26 윤석열 공약인 한국 쿼드 가입의 뜻 (0) 2022.03.22 아이폰se3세대 가격과 출시일 그리고 아이폰14pro (0) 2022.03.21 삼성 갤럭시 GOS 해제방법(끄기) (0) 2022.03.20